본문 바로가기
하노이에서 온 편지

Ep.44 - 베트남 집들, 왜 이렇게 좁고 긴가요? - 튜브하우스의 역사

by 별톡톡✨️ 2025. 6. 1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침 운동을 거르고
푹 쉬었습니다.

시장에 산책만 다녀왔어요.

 📷 동생의 풍경, 누나의 답장

스쿨버스가 정겹다.

 

마당에서 마음껏 뛰놀더니,
이제 닭들의 운명이 갈리겠네. 😔

 

베트남 집 구조는 참 독특해.
앞은 좁고 안으로 길게 이어지지.

프랑스 식민지 시절,

도로에 면한 폭에 따라 세금을 매겼기 때문에
사람들이 앞은 좁게,
뒤로 길게 집을 지었다지.

 

연한 핑크, 진한 핑크...
장미가 예쁘게 피었네.

 


동생아!
한국도 더운데,

베트남은 더 덥겠지?
건강 잘 챙기고, 또 연락하자!

fr. NOONA

폭이 좁고 길게 뻗은
베트남의 집들

동생이 보내온 사진을 보다가
여러분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생겼어요. 

혹시 베트남 거리를 걸어보신 적 있나요?
걷다보면, 집들이 유독 폭이 좁고
깊숙이 길게
뻗어 있다는 걸 눈치채게 되는데요.

긴 튜브처럼 생겼다고 해서,
튜브하우스’라고 부르기도 하죠.

세금에서 탄생한 ‘좁고 깊은 집'

이렇듯 독특한 베트남의 주택 구조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1887–1945)의 세금제도에서 탄생했어요. 
당시엔 건물이 도로에 면한 정면 너비에 따라 세금을 부과했는데요. 

당연히 사람들은 세금을 아끼기 위해
정면은 좁게, 대신 안쪽으로 길게 집을 지었고, 

그렇게 자연스럽게 생겨난 주택 구조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온 거랍니다. 

통일 이후 바뀐 토지 분배 방식

1975년 통일 이후,
공산주의 체제로 전환된 베트남은

토지는 국가 소유,
국민은 사용권만 가진다”는 원칙 아래,
기존 토지를 평등하게 분배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렇다고 새 땅을 나눠준 것이 아니라, 
기존의 좁고 긴 주택 필지를
여러 세대가 나란히 나눠 쓰는 방식이었어요.

이후, 도시화와 인구 집중이 가속화되면서
한 필지에 여러 세대가 거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점점 더 폭이 좁은 집들이 등장했어요.

집의 폭은 줄고, 삶은 층층이 쌓이고 

예를 들어,
깊이 30미터짜리 땅이 하나 있다고 해볼게요. 

여기에 한 세대가 산다면,
폭을 10미터쯤 쓸 수 있지만,
세 세대가 살면 각각 6~7미터,
다섯 세대가 살면 
사용할 수 있는 폭이 4미터가 채 안돼요. 

깊이는 그대로인데 폭만 줄어드니,
자연스럽게 모두 ‘좁고 긴 집’을 갖게 된 셈이죠.

그렇게 해서
여러 층의 폭은 좁고, 깊이가 긴 집들이

오늘날까지 베트남 골목마다
빼곡히 들어선 거예요.

그렇다면,
튜브하우스 안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 1층은 상점이나 주방
  • 2~3층은 거실과 방
  • 꼭대기층은 제단 등등 

이처럼 좁은 공간에 수직으로 쌓인 생활반경,
바로 튜브하우스의 보편적인 구조입니다. 

좁고 긴 집들이 다 비슷해 보여도,
잘 살펴보면 유독 폭이 넓은 집도 있어요. 

이런 집들은 대부분 여러 필지를 사들여 만든
대형 튜브하우스로,
경제적 여유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상징합니다.

이렇듯 베트남 튜브하우스에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의 세금 제도, 공산주의로 전환된 토지 정책, 빠르게 진행된 도시화의 흐름까지 베트남의 역사와 문화, 계층의 흔적이 쌓여 있습니다.

다음에는 또 어떤 풍경, 어떤 이야기가 담겨올까요?
동생이 매일 전해주는 베트남의 하루하루를 함께 기다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하노이에서 온 편지』

베트남에 사는 동생이
가족에게 보내는 사진과 안부에
누나가 응답하는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 시리즈를 시작한 첫 이야기부터 읽어보세요.
👉 Ep.1 | 이방인이 본 화빙(Hòa Bình) 성의 첫날

반응형